February 21, 2016, 1:01 pm
시간은 흐른다.
내가 무엇을 하던 하지 않던 지금 이 순간에도 시간은 흐른다.
또한 흘러간 시간은 다시 되돌릴 수 없다.
그렇기에 사람들은 시간을 소중하게 생각하고 헛되이 흘려보내는 것을 피하려 애쓴다.
그러나 반대로 시간은 멈춰있기도 하다.
어떠한 이벤트가 일어난 그 순간. 그 순간은 어디에서도 찾아 볼 수 없는 그 순간 그 자체로 멈춰있다.
되돌릴 수 없는 것이 시간이지만 언제라도 되돌릴 수도 있는 역설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끊임없이 흐르는 시간 속에서 멈춰있는 순간들로 시간을 되돌림으로서 흐르는 시간과 멈춰있는 시간이라는 엄청난 차이의 한 가운데 자신을 놓을 수도 있다.
새 생명의 탄생. 성장. 죽음. 그리고 다시 새 생명의 탄생으로 이어지는 반복.
각자 다른 시간을 가지고 다른 방법으로 살아가고 있지만 사실은 그저 반복이라는 굴레의 특정 위치에 내가 서 있는 것일 수도 있다.
February 8, 2016, 2:58 am
결국 NAS를 만들기로 결심. 그 결심은 여기서 확인.
테스트는 남아있는 노트북 하드로 하고 목표는 아래의 경우를 확인하는 것이 목표.
- NAS 구축
- 데이터 복사
- Raid 1으로 미러링 시작
- 미러링 완료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제대로 동착을 하는 것을 확인 후 확신 그리고 신념에 차오른 상태로 하드디스크를 주문. 다음 주 중에 올 줄 알았던 하드디스크가 토요일날 오면서 모든 것이 시작됨.
아래는 무선으로 파일 전송시 속도가 유선의 절반보다도 못 할 수 있다라는 것을 확인 한 후 벌어진 것들..
- 기가빗 스위치 준비 – 예전에 쓰고 있었으나 지금은 안쓰게 된 녀석 다시 꺼냄
- 케이블 준비 – 예전에 만들어놨던 또는 사놨던 것들 중에서 젤 긴 선을 확보
- 미리 제작되어서 나오는 케이블은 길이가 짧아서 사용하던 공유기 스위치를 연결 할 경우 본체에 연결 할 수 없음을 파악
- 길이가 되는 수제 케이블을 다시 찾음
- 이건 또 너무 길어서인지 기가빗 연결이 안되고 100Mbps로 연결 ㅠㅠ 이건 무선보다 느린속도 – 수제 케이블 탈락
- 케이블을 최단 거리로 연결.. 임시방편으로 그 중간 지점에 스위치를 공중에 띄우는 느낌으로 (과대포장 되어짐) 최초의 연결 완성
- 그리고 데이터 복사 시작
- 기가빗이라도 결국 옮기는건 시간이랑의 싸움 ㅠㅠ
- 어찌저찌 다 옮김
- 데스크탑에서 사용하던 하드를 적출
- 스토리지 설정을 Raid 1으로 변경하고 디스크 싱크를 시켜놓고 잠에 듬. 이게 새벽 6시반;;
- 일어나서 보니 연결 안되고 죽었음 [….]
- 멘붕 시작 – 궁서체임
- 하드를 띠어서 연결을 따로 해봐도 뭔가 이상, 다시 연결해도 뭔가 이상, 다 이상함
- 그 와중에 수퍼볼 시작
- 인식불량의 원인을 케이블 접촉 및 SATA포트 우선 순위로 좁힘
- 걸림쇠가 있는 케이블 및 원본 하드를 연결 하니 데이터가 들어있는 것이 보임 ㅠㅠ
- 그 뒤에 이래저래 삽질 하다가 hot plug가 되는 스펙 덕분에 이래저래 두 번째 하드를 중간에 꼽아서 강제 인식 시작 ㅎ
- 싱크 작업은 지금도 진행중
이게 뭔소린가 싶지만.. 정말 딱 이런 순서로 일이 벌어짐.
데이터를 날린거 같지는 않으니 다행인데 중간에 정말 그냥 다 없에버리고 깨끗하게 새로 시작 할 생각도 했었음 ㅠㅠ 그래도 지금 이정도로 마무리가 된 것이 다행이라고 생각하는 중.
결론
1. 돈을 쓰세요
2. 돈 주고 제품을 사세요
3. 아끼는게 아끼는게 아닐 수 있습니다
4. 돈을 쓰세요
February 1, 2016, 1:47 am

잘 쓰던 Fedora에서 Ubuntu로 갈아탐.
그냥 Fedora를 써도 상관이 없을 줄 알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들 패키지가 데비안 기반으로만 배포 되는 것들이 몇 가지가 있다보니 ㅠㅠ
4월이면 LTS버전이 나올꺼라 그냥 버틸까도 생각했는데 그러기엔 75일정도 되는 시간을 버티기 힘들 것 같았음 ㅎ
예전엔 진짜 많이 사용했었는데 Redhat계열의 리눅스만 한 참 쓰다가 오랫만에 이 쪽으로 돌아오니 재미있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