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tagged ‘콘솔’

콘솔 vs PC 거기에 Steam – 2015 edition

AMD vs Nvidia 그리고 콘솔 vs PC

뭐랄까 닭이냐 달걀이냐의 논란만큼 끝나지 않는 두 떡밥을 물고 사람들은 왜 사울까? ㅎ

여기서 큰 의미 없지만 이 두가지에 대한 개인적인 의견.

 

콘솔 vs PC

게임을 할 수 있는 대표적인 두가지 플랫폼. 그리고 그렇기 때문에 서로 비교가 되어 계속해서 싸움을 하는 플랫폼

 

먼저 PC
PC가 가지고 있는 최대의 장점이자 단점은 바로 성능. 콘솔과는 비교도 할 수 없을 정도의 강력한 성능을 제공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반면 제대로 플레이를 할 수 없을 정도의 성능 역시 제공 할 수 있다는 것. 사용자들이 컨텐츠를 제대로 즐기기 위해 사전에 정성 을 많이 들여놓은 환경이라면 더할 나위 없이 좋은 경험을 제공해줌. 그러나 그만큼의 정성을 보이지 않는 경우 상대적으로 불완전한 경험을 하게 되며 심지어 패널티까지 경험하게 됨으로서 소비되는 컨텐츠의 품질이 제작자의 의도와는 완전 다른 방향으로 전개 될 수 있다라는 것이 아쉬운 점.

그러나 콘솔의 경우
콘솔을 구매한 사람들에게는 거의 동일한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가장 큰 장점. 그래픽이 조금은 떨어질 수 있지만 마우스보다 컨트롤러로 시선을 돌리는게 느릴 수 있지만 모든 유저가 비슷한 경험을 공유 할 수 있고 이는 컨텐츠 제작자의 입장에서는 축복과 같은 일. 주변기기들의 확충으로 조금 더 나은 경험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은 있으나 그러한 주변기기가 없다라고 해서 해당 컨텐츠를 즐기는데 패널티가 주어지지는 않으니까.. 그러나 현재 팔리는 세대의 기기(PS4, XBO)들은 전 세대들 처럼 기존의 PC가 제공하지 못했던 성능 및 가능성을 제공하는데 있어서는 실패한 상태. 콘솔의 세대 교체 시기가 상대적으로 매우 긴 것을 생각해보면 5년 뒤 발전 되어있을 PC의 성능과 현재 콘솔을 비교 하게 되면 아쉬움이 생길 수 밖에 없을 듯.

곁다리로 이야기 해보는 Steam
현재 PC게임 플랫폼의 왕좌를 차지하고 있는 Steam이 어떻게 움직이느냐에 따라 콘솔 시장을 조금은 잠식 할 수 있다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음. 최근 사양을 발표하고 판매 예정에 들어간 스팀 머신들이 그 주역들이 될 텐데.. 그 동안 커다란 평판TV를 위한 UI구성.. 자체 컨트롤러 제작 독자적인 OS 환경 구축까지 지속적으로 게이밍 플랫폼을 지배하기 위한 준비가 착실하게 진행되고 있는 상황.. 거기에 980m같은 그래픽 카드의 경우 랩탑용이라고 해도 그래픽 자체의 성능은 현세대 콘솔보다 뛰어날 것이며 추후 Vulkan등의 버프를 받은 Source2 엔진 기반의 게임들이 나와준다면 HL3좀 굽신굽신 스팀머신 이라는 플랫폼 자체는 작으나 무시할 수 없는 시장 점유는 챙길 수 있을듯.

 

반대로 이러한 논쟁이 무의미 할 수 도 있는 이유는 10년뒤에는 이런 기기로 게임을 하는 연령층 자체가 30~50대로 넘어간다라는 것.. 게임에 돈을 쓰지 않는 연령으로 접어든다라는 것.

현재 게임 시장 매출의 대부분은 20대~40대의 연령층일 것이고 이들은 NES, 패미콤, 슈퍼패미콤, 메가드라이브(제네시스), 새턴, 드림캐스트,  플스1, 플스2, 게임큐브 등등의 거치형 콘솔을 가지고 게임을 했던 경험이 있는 경우가 많을 텐데 지금의 10대들이 주로 게임을 소비하는 플랫폼은 아이폰 또는 안드로이드로 이야기 되는 스마트폰이며 그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게임을 하는 세대의 ‘게임’ 이라는 정의와 거치형 콘솔을 경험했던 세대의 ‘게임’에 대한 정의가 다를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재 게임을 만드는 사람들 그리고 플랫폼을 운영하는 사람들이 고민을 해봐야 할 부분이라 생각.

AMD vs Nvidia – 2015 edition

AMD vs Nvidia 그리고 콘솔 vs PC

뭐랄까 닭이냐 달걀이냐의 논란만큼 끝나지 않는 두 떡밥을 물고 사람들은 왜 사울까? ㅎ

여기서 큰 의미 없지만 이 두가지에 대한 개인적인 의견.

 

AMD vs Nvidia

이 두 회사를 단순하게 Radeon vs Geforce 라고 생각하기엔 사실 이 두 회사가 그 뒷 쪽에서 하는 일이 너무 달라서 양쪽의 접근 방법이 다를 수 밖에 없다라는 것을 먼저 생각했으면 좋겠음.

많은 사람들은 AMD가 ATI를 인수한 것이 잘못된 결정이고 그 이유로 지금까지 돈이 없어서 허덕이고 있다라고 생각하는데 반대로 ATI가 없었으면 APU도 없었을 것이고 Radeon도 없었을 것이며 현재 팔리는 AMD의 CPU점유율을 본다면 ATI의 인수는 AMD가 지금까지 버틸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준 신의 한 수 였다고 이야기 할 수 있음. 비효율적인 CPU 아키텍쳐를 인텔처럼 바로 정리하지 못하고 어떻게해서라도 개선을 해보겠다고 달려들은 결정 때문에 해당 프로세서 관련 부분이 어렵긴 하지만 반대로 해당 아키텍쳐가 바뀌는 시점에서의 시너지 효과는 지금과는 다른 파괴력을 가질 수 있고 여전히 주력사업인 CPU(APU포함) 부분을 잘 뒷받침 할 수 있게 도와주는 것이 그래픽 사업.

반면 Nvidia의 경우 그래픽으로 시작해서 그래픽으로 마무리. 그리고 여기에 한계가 있다는 것을 알고 있기에 CUDA같은 CPU비슷한 기능들을 자신들의 그래픽 칩셋에 계속해서 집어넣으려는 시도를 하는 중. 아무리 고급형 시장이 중요하다라고 하더라도 실제 매출의 대부분은 중저가의 OEM에서 나오는 구조일 수 밖에 없는데 인텔의 내장 그래픽이 외장 그래픽 카드의 수요를 잔인하다 싶을 정도로 잠식하고 있고 부족한 성능 때문에 아직까지는 큰 점유을을 보이진 않지만 시장에 제품이라도 나와있는 AMD의 APU가 있기에 상대적으로 미래가 암울 할 수 있는 상황. 이를 이겨내기 위해 고성능 CUDA 머신들을 엔터프라이즈 환경에서 제공함으로 그래픽카드 업체에서 해당 기술을 이용한 서비스 플랫폼 제공자로 업종 변경을 위해 힘쓰고 있는 중.

AMD Fury에서 들고나온 HBM의 경우 기존에 볼 수 없던 대역폭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있고 이 기술은 조만간 Nvidia에서도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 기술이 APU에 이 기술이 들어가지 말라는 법이 없지요 ㅎ

이제 상상은 그만 하고 시장이 어떻게 움직이는지를 볼 시간 🙂

그럼 이어서 콘솔 vs PC로..

PC게임 시장의 미래..

저번주부터 갑지가 다시 시작한 디아블로3 플레이를 마친다음에 드는 생각.

과연 PC게임 시장은 얼마나 살아남을 수 있을까? 대학들은 방학 중일 요즘 과연 얼마나 많은 대학생들이 고사양의 온라인 게임을 즐기고 있을까? 아니면 갤럭시 노트에서 윈드러너를 하고 있을까?

최근에 안하던 게임을 몇 개 하면서 순간 게임이 잘 돌아가는 컴퓨터가 사고 싶어졌음. 근데 막상 사려니까 이게 가성비가 완전 쥐약인 것을 깨달은 거지.. 내가 예전처럼 방학이라는 것이 있고 따로 일을 하고 있지 않았을 때에는 집에서 계속 컴퓨터를 사용해서 인터넷도 하고 동영상도 보고 게임도 하고 채팅도 하고 메신저도 하고 정말 별 걸 다 했었으니 PC에 돈을 쓰는 것이 큰 문제가 되는 것도 아니었고 더군다나 즐기기 까지 했으니까 이런저런 사이트들을 돌아다니면서 알아보고 성능도 확인하고..

시간은 흘러흘러 다른 나라에서 살면서 사는게 바쁘다 보니 PC로 하는 일이 점점 줄어들고 글/책은 PC의 브라우저 상에서도 보지만 아이패드/타블렛으로 많이 대체 되어가고 있고 웹브라우징도 그 쪽에서 하는 경우도 많고 메시지는 핸드폰으로 오고가는 경우가 많게 되고 간단한 게임 역시 그냥 핸드폰/타블렛의 조합으로 즐기는 시간이 PC에서 게임을 하는 경우보다 훨씬 많아졌음을 느낄 정도니까..

그러던중에 쓰고 있는 랩탑에 스팀을 깔고 게임 하나를 설치해서 해보려고 했는데.. 글쎄 무려 10GB는 기본으로 다운로드 받아야지 게임이라는 것을 할 수 있게 되어있더라고 어느새.. 한국은 인터넷이 싸고 빠르기라도 한데 내가 사는 곳은 비싸고 느려서 더더욱 좌절 orz 지금 사용하는 라인이 25~30Mbps짜리 라인이니 여기에서는 적당하게 빠른 속도에 들어가지만 한국에서 어느집에나 다 들어가있는 100Mbps짜리랑 비교하면 한 1/4의 속도.. 그걸로 게임 하나를 다운로드 받는데 걸리는 시간이 이래저래 30분정도가 걸리는 상황.

생각을 해바바 ‘지금’ 게임을 하고 싶어서 스팀을 켜고 플레이를 누를 수 있는데 걸리는 시간이 최소 30분이라는.. 커피 마시고 싶어서 주문했더니 30분뒤에 나온다라던가 배고파서 밥 시켰는데 30분뒤에 나오는 경우를 생각하면 지금 이 비지니스 모델이 얼마나 많은 기회와 고객을 잃어버리고 있을지..

이렇게 저렇게 이야기를 해도 결국 30분을 기다려서 다운로드를 받고 실행을 시켰는데 여기서 또 한 번의 좌절.. 내 랩탑의 사양이 그닥 좋지 못한거지 orz 물론 좋지 않은 것은 알고 있었고 이런저런 효과들에 완전 깨끗하고 부드러운 그래픽을 바란 것은 아니었는데.. 그래도.. 그래도.. 그건 아니었다고 ㅠㅠ 30분을 기다려서 다운로드 받는 중에 몇 메가를 할 당해서 받는동안 성능을 확인 할 수 있는 (적어도 어떤 성능이 나올지 기대치를 확인 시켜줄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이렇게 좌절을 하는 경우도 없었을텐데라는 아쉬움이 생기면서 지금과 같은 PC게임의 시장이라면 사람들에게 접근성이 점점 더 떨어질 수 밖에 없겠구나라는 생각밖에 안나더라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조각으로 다운로드도 보내고 최소한의 파일만 받은 후 인터넷으로 계속 스트리밍하면서 받는 기술도 생기고 아예 게임 머신 자체를 가상화 시켜버려서 스펙이라는 것에서 해결을 해주려는 모델이 있기는 하지만 아직 실제로 사용하기에는 적용되는 범위가 너무 한정적이다보니 오히려 제대로 게임을 하려면 PS3나 Xbox로, 가볍게 하려면 몇 메가 정도 받는 걸로 그냥 충분하게 즐길 수 있는 그런 쪽의 시장이 커질 수 밖에 없는 상황에 들어간 걸 물론 알고 느끼고 있었지만 본인이 이렇게 당하게 될 줄은 생각도 못했었는데 시야가 좀 넓어지는 기회가 되었네.